2014-06-04

반딧불의 묘와 악몽

얼마 전에 이런저런일 때분에 '반딧불의 묘'를 봤습니다. 사실 잔인한 장면이 나올 것으로 예상해서 안보고 일부러 미뤄뒀던 것인데.... 저는 어렸을 때 큰 자동차 사고에 두차례나 휘말렸습니다. 단편적인 기억밖에 없는 그때 일이 큰 트라우마가 됐는지 그후로는 심한 상처나 출혈을 보면 정신이 아득해집니다. 정말로 눈앞에 깜깜해지며 쓰러질 뻔한 적도 있었습니다.

반딧불의 묘 중간에 세이타 어머니가 심각한 화상을 입을 장면을 보고는 재생을 중단했습니다. 그리고 일주일을 고생했습니다. 밤에 잠을 자는데 계속 악몽이 계속됐습니다. 겨우겨우 악몽을 수습하고는 나머지를 겨우 봤습니다. 한번 봤던 영화나 문학작품은 한차례 더 보는 것이 습관인데, 이번에는 도저히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 작품은 전범국 일본의 피해자화로 한참 논란이 됐던 작품입니다. 세이타나 세츠코가 해군 장교의 자녀인 것을 생각해보면 일본인인 감독의 입장에서는 나름 선을 긋기 위해서 노력한 구석이 보입니다. 공습에 의해서 공장이 파괴 됐다거나 주변인들이 전시 근로에 참여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소이탄 폭격의 필요성을 부정하고 있지 않습니다. ( 참조 : https://www.google.co.kr/search?q=총력전+민간인 ) 단순히 이들이 무고하게 죽었다는 것을 주장하고 싶었다면 전쟁에 최대한 연루되지 않은 인물이 비참하게 죽는 모습을 그렸을 것입니다. 세이타나 세츠코가 아버지가 전쟁에 연루되어 있는 해군 장교인 덕에 전시에도 풍족하게 살기도 했고, 근로 동원에 반발하는 모습이 보이지도 않습니다. 오히려 제국주의에 순응하는 모습을 그리고 있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어느정도 거리를 두려고 시도하고 있긴 합니다.

문제는 이 작품에는 청자의 역사적/문화적 배경에 따라서는 열불이 날만한 요소가 가득하다는 점입니다. 세이타나 세츠코가 친척 아주머니의 박대에 못이겨 살게 되는 곳이 버려진 방공호입니다. 방공호에서의 삶을 보면 전쟁 이전 부모의 삶을 모사하고 있습니다. 세이타는 군가를 부르며 관함식에서 봤던 장면을 자랑하고, 세츠코는 바느질이나 밥 짓는 흉내를 냅니다. 아마도 전쟁의 비인간성을 고발하고 싶은 의도겠지만, 저 아이들이 흉내내고 있는 것은 전쟁 이전의 행복한 가족의 삶, 다시 말해서 2차대전 이전의 일본 제국을 상징합니다. 결국 아이들은 비참하게 죽게 되지만 원인은 아이들의 잘못 보다는 전쟁이나 민족, 국가, 마을과 같은 외부의 야만성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종합하면 세츠코와 세이타는 전쟁과 전혀 관련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착한 아이들이 불쌍하게 죽었으니 희생자라는 주장입니다. 이 말을 조금 더 확장하면 일본인들은 전쟁에 관련이 있긴 하지만 불쌍하게 희생당했다는 것입니다. 전쟁으로 인한 비참한 죽음을 비극적으로 묘사하고 이를 희생자화 한 것으로 끝났다면 그래도 수긍하겠는데 그리고는 남들을 신나게 털어먹던 화려하고 잘나갔던 시절을 회상하며 그리워 합니다.

세츠코가 죽기전 세이타는 아버지의 전사 사실을 알고 절망합니다. 아마도 세이타의 아버지가 전사하지 않았다면 세이타와 세츠코는 살았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일차적으로는 전쟁으로 인한 비극적인 결말입니다. 하지만 잘 생각해보면 세이타의 아버지는 전쟁 이전의 강한 아버지, 군국주의를 상징합니다. 이것은 악몽으로 남아 있어야 했던 일본 제국주의의 만행을 반대로 잘 나가고 화려한 시절로 둔갑시키고, 전쟁이 비극적인 이유는 자신들의 자랑스럽고 행복하고 시절을 끝장낸 것으로 결론을 내리게 만들 위험성이 다분합니다.

여기에 더해서 일본을 공격하는 연합국은 B29폭격기와 소이탄만이 등장하고 있습니다.(다시 볼 엄두가 안나서 확인 못했습니다.) 이제 작품의 모습은 닿을 수 없는 하늘에 있는 마치 천재지변과 같은 비인간적인 기계와 무서운 무기에 희생당하는 인간이 되었습니다. 인간의 삶, 그러니까 인간성을 파괴한 것은 공포스러운 기계이고 파괴된 삶은 회복되어 합니다. 그렇다면 세이타와 세츠코가 회복하려고 하는 것은 방공호에서 꿈구는 과거의 삶, 바로 군국주의의 달콤한 열매입니다.

그리고 작품은 세이타와 세츠코가 재건에 성공한 현대 일본 대도시를 바라보는 장면으로 끝이 납니다. 세이타와 세츠코는 죽은 후에도 이승을 떠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들을 떠나 보내는 것은 과거와의 단절을 뜻하게 되는데, 아직도 도시 근처에서 방황하는 것은 심지어 전후 일본 재건을 성공한 후에도 과거의 화려한 시절에 집착하고 있다는 표시입니다.

작품 자체를 봤을 때는 참 전쟁은 비참한 것이라는 생각도 들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황당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작품 내내 무엇인가 애매하고 교묘하게 뒤틀려 있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한편으로는 전쟁에 대해서 반성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교묘하고 무의식적인 방어기제가 보여서 많이 아쉬웠습니다.

댓글 없음: